헬스
벚꽃길 걷다가...'코 찔찔, 눈 팅팅' 알레르기 빌런 퇴치 작전 개시
작성 : 2025.04.11. 오전 10:36
이화영 서울성모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며, 빠른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레르기는 외부 물질에 대한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체 면역 시스템이 특정 물질을 적으로 오인해 공격하는 현상이다. 천식, 비염, 두드러기 등이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이다.
알레르기 질환은 콧물, 코막힘,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외에도 가려움증, 발진, 결막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천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두 질환을 함께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만약 두드러기가 6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두드러기로 분류하여 정밀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알레르기 반응은 발현 속도에 따라 즉시형과 지연형으로 나뉜다. 즉시형 반응은 알레르기 물질에 노출된 후 수 분에서 6시간 이내에 급격히 나타나며, 음식, 약물, 꽃가루 등이 원인이다. 특히 아나필락시스는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 중 가장 심각한 형태로, 두드러기, 호흡곤란, 저혈압, 심한 복통 등을 동반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아나필락시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처치를 하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지연형 반응은 수 시간에서 며칠 뒤에 나타나며, 금속, 화장품 등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대표적이다.
알레르기 질환 진단에는 피부 검사, 혈액 검사, 유발 검사 등이 활용된다. 피부 검사는 알레르기 항원을 피부에 노출시켜 반응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혈액 검사는 혈중 알레르기 항체 양을 측정한다.
알레르기 질환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부모가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다면 자녀에게도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지만, 알레르기 질환 자체가 유전병은 아니다. 서구화된 식습관, 대기 오염, 기후 변화 등도 알레르기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지만, 면역요법, 생물학적 제제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질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며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